본문 바로가기

언그래머 글쓰기 클럽 1기

(6)
[언그래머] 글쓰기 클럽 1기 - 6. 내가 생각하는 개발자의 소통 그리고 협업 ✏️ 내가 생각하는 개발자의 소통 그리고 협업 1) 내가 생각하는 소통 그리고 협업은 무엇인지2) 그렇다면 개발자가 지향해야 할 협업은 무엇인지 소통의 사전적 정의는 '서로 막힘없이 통하는 것'협업의 사전적 정의는 '무언가를 서로 함께 만드는 것' 소통이란? 소통은 타인과 상호작용을 하기 위함이고,협업은 공동의 목표를 이루는 것이라 생각한다.결국 소통은 협업을 위한 수단 중 하나이기에, 소통이 잘 되어야 협업도 잘 되는 것이다. 그럼 소통을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우리가 어떠한 책을 읽거나 상대방과 대화할 때 맥락을 파악하려 노력하는 것처럼코드도 언어이기에, 코드를 보고 상대방의 의도를 이해해야 한다. 앞뒤 문맥을 잘 파악하고, 상대방이 무슨말을 하는지 캐치하기 위해모르는 것이 나올 때 질문을 주저하..
[언그래머] 글쓰기 클럽 1기 - 5. 과제 테스트 패키지 구조 파헤치기 ✏️ 과제 테스트 패키지 구조 파헤치기  1) 그 코드들을 가볍게(?) 읽으며 패키지 구조를 분석해보기2) 여유가 된다면 코드를 어떻게 짜뒀는지 같이 보기   패키지 분석을 어떻게 해야하는건가 고민하다 찾아보니3가지 방법을 통해서 패키지 분석을 할 수 있다고 함.폴더 및 파일 구조 살펴보기코드 읽기코드 의존성 확인   오늘 살펴볼 곳은 여기 프로그래머스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programmers.co.kr    일단 JavaScript/프론트로 설정하고 쭉 살펴보다가마음에 드는 걸 골라서 응시해봤다(켜봤단소리)    첫번째 문제 - 고양이 사진첩 애플리케이션당신은 고양이들을 모..
[언그래머] 글쓰기 클럽 1기 - 4. 내가 프로젝트에서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 내가 프로젝트에서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프로젝트에서는 어떤 걸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까? 문서? 협업? 기능구현? 사실 프로젝트를 하면서 딱히 생각해본 적 없다. 이번 기회를 통해 고민해봤는데 목적이 제일 중요하지 않나 싶다 규모에 상관없이 무엇을 구현하려 했는지 명확한 목적을 가지고 해당 기능을 구현하는게 제일 중요하지 않을까? 그리고 완성하려 노력하는 것이다. 일단 규모를 작게 잡고 무언가를 완성해봐야 그걸 돌이켜 볼 수 있고, 목적으로 향하는 과정속에서 무언가를 배우고 느낄 수 있다. 또한 목적이 명확하면 중간에 길을 잃어도 금방 돌아올 수 있다. 사실 이전에 했던 미니 프로젝트 중, 볼륨을 크게 잡아서 결국 완성하지 못했지만 완성을 향해 나아가며 배운 것들이 있다. 안드로이드 프로젝트였는..
[언그래머] 글쓰기 클럽 1기 - 3. 나에게.. 클린 코드란..? ✏️ 나에게.. 클린 코드란..? 사실 클린코드란건 최고로 가독성 있는 코드를 완성하기 위한 여정이 아닐까? 작가들이 책을 출판하기 전 가독성을 위해 교정하듯이, 개발자들도 협업, 자기만족 등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가독성있는 코드를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코드를 검토하여 나오는 산물인것이다. 보통 어떠한 업무를 맡아 코드를 짤 때 그 코드를 평생 나혼자 관리할 일은 잘 없다. 누군가와 협업할 수도 있고, 다른 업무를 맡게 될 경우에는 다른 사람에게 인수인계를 해야하기 때문이다. 코드를 처음 보는 사람들이 별다른 주석 없이도 이 코드가 무슨 기능을 하는지 금방 파악하고 유지보수 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클린코드의 목적일 것이다. 클린 코드(Clean Code)의 장점? - 읽기 쉬움 - 이해하기 쉬움 - 프..
[언그래머] 글쓰기 클럽 1기 - 2. 객체 지향의 사실과 오해/내 주력 언어의 특징 및 좋아하는 특징 ✏️ '객체 지향의 사실과 오해' 책을 읽거나 or 내 주력 언어의 특징 및 좋아하는 특징 이번 주제는 이 두가지 중 하나를 골라서 쓰는건데, 두개를 합쳐서 써보기로 했다. 우선, 현재 내 주력언어는 자바스크립트이다. 사실 처음에는 자바로 시작헀기에 자바가 훨씬 좋았고, 자바스크립트와는 별로 친하지 않았다. 자바스크립트는 내게 자바와 이름이 비슷한 어려운 친구였는데, 이번에 본격적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오해를 풀고 친해지게 되었다. (특히 자바스크립트 언어로 백과 프론트를 둘 다 다룰 수 있다는 게 굉장히 매력적이라고 생각함.) 자바스크립트의 특징? 일단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지향 언어이며, 클래스 없이 오로지 객체만이 존재하는 프로토 타입의 언어 이다. 그렇기에 상속 역시 클래스가 아닌 객체간의 위임 매커..
[언그래머] 글쓰기 클럽 1기 - 1. 나는 왜 개발자가 되고 싶을까? ✏️ 나는 왜 개발자가 되고 싶을까? ‘컴퓨터’ 하면 가장 먼저 초등학교 때가 떠오른다. 고학년에 올라갔을 무렵, 컴퓨터실이 새 단장을 했는데 그게 좋아서 자주 놀러갔던 것 같다. 수업시간에 HTML/CSS로 간단한 웹페이지를 만들며 버튼을 누르면 색이 변하는게 흥미로웠던것도, 방과후에 선생님과 친구들과 함께 컴퓨터활용능력3급도 땄던 게 아직도 기억에 남는다. 하지만 취미가 ‘개발’이 아닌 ‘게임’으로 정착해버려 나와 ‘개발’은 조금 서먹해졌고, 대학에 가서야 다시 만나게 되었다. 내가 진학한 컨텐츠 학과에서는 전공 수업이 디자인, 영상, 개발 이렇게 세 분야로 나뉘어 있었고, 처음에는 개발에 전혀 흥미가 없었다. 그러다 전공 필수 과목으로 데이터베이스와 HTML/CSS를 접하며 조금 친숙해졌고, 3학년..